목록r (10)
남극

파생변수 만들기 파생변수는 간단하게는 조건에 맞는 새로운 변수를 뜻합니다. 예시를 보면서 조금 더 자세하게 이해를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dt

칼럼명 바꾸기 R에서 칼럼명을 바꾸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데이터 프레임을 만들었을 때 칼럼명을 재정의해주어야 할 경우에 대비해서 배워두도록 합시다. 우선 패키지를 다운로드하도록 합시다. install.packages("dplyr") library(dplyr) dplyr이라는 패키지를 다운받고 사용하겠다고 선언을 해줍니다. value = data.frame(car= c("a","b","c")) 가볍게 하나의 열이 있는 데이터 프레임을 만들어줍니다. rename(값이 있는 변수, "바뀔 이름" = "바꿀 이름") 기본적인 형식입니다. 밑에 있는 예제를 보시면서 나머지를 이해해보도록 합시다. rename(value,c1 = car) 위에서 만들어주었던 value 변수에 있는 car 칼럼 이름..

데이터를 파악하는 방법 우리에게 데이터가 주어졌을 때 가장 먼저 해야 하는 일은 데이터가 어떻게 이루어졌는지 파악하는 일입니다. 링크에 들어가서 데이터를 다운로드하고 R Studio에서 데이터를 불러오도록 합시다. var1 = read.csv(file = "경로",header = True) 이렇게 입력을 해서 값을 불러왔습니다. 참고로 header는 첫 번째 행에 변수명이 있는지 없는지에 대한 true or false입니다. head() 데이터의 앞부분을 확인할 수 있는 함수입니다. 기본적으로 데이터의 앞부분 6자리를 화면에 출력해주는 함수이며 데이터의 길이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head(var1)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head(var1,3) 이렇게 해준다면 데이터를 맨 위에서부터 3..

데이터 프레임 데이터 프레임은 데이터를 행과 열로 구성한 사각형 모양의 표를 의미합니다. 열 (column) 열의 의미를 조금 더 자세히 파고들면 열은 "데이터의 속성"이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행 (row) 행은 "정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각각의 속성에 대한 정보들이 담겨있죠. 행과 열이 많아지면 행과 열이 많아진다는 뜻은 데이터가 크다는 뜻을 의미하며 데이터가 크다는 것은 분석을 할 때 여러 가지 요소에 따라서 속도, 분석 방법 등에 한계가 있을 수 있다는 뜻입니다. 데이터 프레임 만들기 데이터 프레임은 만드는 방법이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데이터를 입력할 수 도있고 외부 데이터를 불러와 만들 수도 있습니다. data.frame(데이터,데이터...) 위와 같은 명령어로 표를 만들 수 있습니다..

패키지란? R Do It 프로그래밍을 참고하였습니다. 패키지라는 것은 지난번 포스팅에서 알아보았던 함수들이 여러 개가 모여있는 곳입니다. 함수를 사용하려면 우선 패키지를 설치하여야 합니다. 패키지 안에 함수가 있으니 꼭 설치해야겠죠? 패키지 설치하기 패키지를 설치하는 방법은 install.package라는 명령어를 사용해주면 됩니다. install.packages("패키지") 우리는 ggplot2라는 패키지를 설치하여 보도록 하겠습니다. install.packages("ggplot2") 입력을 하면 패키지가 다운로드된 후 설치가 됩니다. 여러 가지 다운로드 중이라는 문구와 프로그레스 바가 화면에 나타나면서 다운로드가 진행되는 것을 보실 수 있습니다. 이제 사용을 하려면 패키지를 사용하겠다고 해주어야 합니..

문자 다루기 지난번 포스팅에서 변수를 다루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변수에 문자열을 넣는 여러 가지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문자열을 넣는 방법은 정수를 넣을 때와 다를 것이 없습니다. 다만 문자에 큰따옴표("")를 넣어주어야 하지요. A = "a" A 이렇게 실행하면 값이 잘 나옵니다. 그렇다면 한 번 큰따옴표를 빼볼까요? 큰따옴표를 빼면 문자열이 아닌 객체로 인식하기 때문에 에러가 나게 됩니다. 변수에 여러 값 넣기 변수에 여러 개의 값을 넣는 함수는 c()입니다. 모든 변수를 생성할 때 사용 가능한 개념이기에 문자열도 예외 없이 사용이 가능합니다. A = c("Hello","World") A 변수 A에 문자열 "Hello"와 "World"를 넣었습니다. 값이 잘 나오는 것을 볼 수 있..